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기업은 MR=MC인 만큼 생산한다는 의미
    경제학 2017. 7. 22. 14:24

    기업은 MR=MC인 만큼 생산한다.

    MR은 한계수익이고 MC는 한계비용이다. 말이 너무 어렵다.

    한계라는 단어는 물건 한 개를 더 ~했을 때라고 이해하면 된다.

     

    즉 한계수익은 물건 한 개를 더 생산했을 때 얻는 수익이다.

    한계비용은 물건 한 개를 더 생산했을 때 들어가는 비용이다.

    그럼 왜 기업은 이 둘이 같아지는 만큼만 생산할까?

     

    (수익-비용)을 최대화해라!

    기업은 장사를 한다.

    장사의 원리는 아주 쉽다.

    이윤을 최대로 만드는 것이다.

    이윤은 수익에서 비용을 빼고 남는 것이다.

     

    보기좋게 쓰면 이윤=수익-비용이다.

    만약 지금 기업의 한계수익이 한계비용보다 크다면?

    즉 한 개 더 생산했을 때 얻는 수익이

        한 개 더 생산했을 때 들어가는 비용보다 크다면?

     

    당연히 한 개 더 생산한다.

    그런데 한계수익은 생산을 늘릴수록 줄고,

             한계비용은 생산을 늘릴수록 는다.


    한 개 더 생산했는데 또 한계수익이 한계비용보다 크다면?

    또 한 개 더 생산한다.

    이렇게 한계수익이 한계비용과 같아질 때까지 계속 생산한다.

     

    우리의 생산량이 지금 2에 있다면,

    한계수익이 한계비용보다 크니까 한 개 더 생산한다.


    우리의 생산량이 지금 5에 있다면,

    한계비용이 한계수익보다 크니까 덜 생산한다.


    결국 한계수익과 한계비용이 만날 때까지 생산량을 조정한다.




    미분개념의 적용

    미분 개념을 알고 있다면 다르게 이해할 수도있다.


    한 개 더 생산했을 때 얻는 추가적으로 얻는 수익이 한계수익(MR)이라면

    이때까지 생산해서 얻은 수익을 다 합친 것이 총수익(TR)이다.


    즉 한계수익을 차곡차곡 쌓으면 총수익이 된다.

    거꾸로 총수익을 미분하면 한계수익이 된다.


    비용 개념도 마찬가지다.

    한계비용(MC)를 차곡차곡 쌓으면 총비용(TC)이 된다.

    총비용을 미분하면 한계비용이된다.


    우리가 원하는 것은 (총수익-총비용)이 최대화되는 것이다.


    그래프로 보면 총비용과 총수익의 격차에 해당 되는 부분이 이윤이 된다는 것을 알 수있다.


    그런데 이 이윤이 최대가 되는 지점은 각 곡선의 접선이 평행이 되는 지점이다.

    각 곡선의 접선이 평행이 된다는 것은 접선의 기울기가 같아진다는 뜻이다.

    접선의 기울기는 미분값이다.

    즉 미분값이 같아지는 지점에서 이윤이 최대가 된다는 것이다.


    각 곡선의 미분값이 바로 한계비용과 한계수익이다.

    즉 한계비용과 한계수익이 같아지는 지점에서 이윤이 최대가 된다.

    기업은 당연히 이윤이 최대가 되도록 생산하기를 원할 것이다.

    '경제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자연로그 ln(x)의 변화량은 x의 변화율이다!  (1) 2018.04.06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